반응형

안녕하세요 점차 여름이 다가오면서 날씨가 무더워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주택임대사업자 등록절차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부동산 임대 거래 시 주택임대사업자 등록은 꼭 필요한 절차인 것 같은데요. 아직 주택임대사업자 등록 절차를 거치지 않은 주택이 500만 가구가 넘는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주택임대사업자는 무엇인지? 그리고 주택임대사업자 등록절차와 등록했을때 얻는 혜택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주택임대사업자란?

주택 임대사업자란 무엇인지 아마 궁금해하실 것 같은데요. 임대사업자란 공공주택사업자가 아닌 사람이 1호 이상의 민간임대주택을 취득해서 임대사업을 할 목적으로 할 때 등록해야 하는 것이 임대사업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민간임대주택은 무엇일까요? 민간임대주택은 임대목적으로 제공하는 주택으로 임대사업자가 같은법 같은 조에 따라 등록한 주택을 말합니다.

 

민간임대주택의 종류

임대주택은 취득휴형애따라 달라지는데 민간건설, 민간 매입 임대주택으로 구분됩니다. 임대 의무기간에 따라서 공공지원, 장기일반, 단기민간임대주택으로도 구분됩니다.

 

주택임대사업자 등록절차

자 이제 주택임대사업자 등록절차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주택임대사업자 등록을 하기 위해서는 임대사업자 등록조건을 채워야 하는데요.

주택임대사업자 등록조건은 주택을 1호 이상 소유하고 있거나, 분양,매매 등을 통해 주택을 소유할 예정인 분은 임대사업자로 등록이 가능합니다.

 

주택임대사업자로 등록하려는 분은 필요서류를 준비하셔야 하는데요.

공통적으로 임대사업자 등록신청서가 필요하고 사업자 유형별로 주민등록 초본이나 등기사항 증명서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주택유형별로 건물등기사항증명서나 매매계약서, 분양계약서 등 주택 취득 유형별로 제출서류가 달라지는데 위의 사진 참고해주시길 바라겠습니다.

 

주택임대사업자 등록 신청절차로 임대사업자로 등록하려고 하시는 분은 위의 필요서류를 준비하여서 시, 군, 구청에 임대사업자 등록을 신청하고 사업자 등록증을 첨부하여서 세무서에 별도로 사업자 신청을 해야 합니다.

 

1. 등록조건 확인

2. 필요서류준비

3. 임대사업자 등록신청

4. 임대사업자 등록증 발급

5. 부가가치세 면세사업자 등록신청(세무서)

6. 임대사업자 등록 완료

 

위의 6개의 절차로 주택임대사업자 등록절차가 진행됩니다.

주택임대사업자 등록절차 등록 혜택

이번에는 주택임대사업자 등록절차 혜택에 대해서 알아볼 건데요.주택임대사업자로 등록하였을 때 지방세, 임대소득세, 양도소득세, 종합부동산세, 건강보험료까지 다양한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위의 사진의 표처럼 각종 비과세 혜택을 가지고 있으니 1호 이상의 주택을 가지고 임대사업을 하고 계시는 분이라면 주택임대사업자 등록절차를 거쳐서 주택임대사업을 하는 편이 좋아 보입니다.

 

이렇게 주택임대사업자 등록절차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주택임대사업자로 등록하게 되면 가지는 의무도 있습니다. 하지만 법규로 지정되는 만큼 각종 비과세 혜택과 세제혜택이 있으니 법의 테두리 안에서 주택임대사업을 하는 편이 더 좋아 보이네요.

 

오늘도 감사합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