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갑습니다. 저희 부모님도 은퇴 현재 경남 함안에 귀농을 하셨는데요. 이렇듯 은퇴 후 귀농을 꿈꾸는 분들이 많아지면서 농가주택 매매에 대한 관심이 많은 것 같습니다.
사실 저희 부모님의 고향은 시골 쪽이었기 때문에 조금 더 적응하시기 편하다고는 합니다. 하지만 농가주택 매매시 고려할 사항은 있는 것 같습니다.
저 또한 은퇴 후에는 와이프와 함께 조금은 도심을 벗어나서 살고 싶은 마음은 있습니다.
제가 이번에 부모님과 이야기하면서 나온 농가주택 매매시 생각해야 할 것과 주의사항에 한번 포스팅해봤습니다.
농가주택이란 무엇인가?
농가주택이라고 하면 뭔가 시골집을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실 것 같은데요. 일단 농가주택의 정의에 대해서 법률적으로 정해진 것을 말씀드릴게요.
농가주택은 대지 200평 이내와 건물면적은 45평을 초과하면 안됩니다.
저희 부모님의 경우에도 함안 택지에 땅을 매입하여 새로 주택을 하나 지었습니다.
농가주택 매매 농업인의 조건과 혜택
농가주택 매매를 보통 생각하실 때 대략 30평대의 집을 원하는데요.
일단 농가주택의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농업인의 요건을 갖추어야 합니다.
그래야 정부와 각 지자체에서 정부지원금과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농업인의 조건에 충족되기 위해서는
1. 1000㎡(300평) 이상의 농지를 경작 또는 재배하는 자
2. 농지에 330㎡(110평) 이상의 온실, 비닐하우스 등 경작 또는 재배하는 자
3. 소 2마리, 돼지 양 10마리, 닭, 오리, 거위 100마리 이상 또는 꿀벌 10군 이상을 사육하는 자
4. 1년 중 90일 이상 농업에 종사하는 자
5. 1년 중 120일 이상 축산업에 종사하는 자
6. 농업경영을 통한 농산물의 연간 판매액이 120만 원 이상인 자
이렇게 농업인의 조건을 충족하게 되면 받을 수 있는 혜택은
농가주택 양도 시에세대1 주택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고, 양도소득세 또한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정부의 지원금으로 농지보전부담금을 받을 수 있고, 취득세 및 재산세를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
농가주택 매매 시 주의 사항
사실 농가주택 매매시 주의할 점은 일단 주거환경을 생각해야 합니다.
확실히 도심과는 다르게 주변에 편의시설이 적어서 마트를 가거나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조금 힘들기도 합니다. 그리고 밤에는 주변이 상당히 어두워 도심지의 밝기를 생각하시다가는 무서움이 찾아올 수 있습니다.
그리고 농가주택은 주거용과 주말용으로 어떻게 보면 나뉠 수 있는데요.
주말용의 경우 사실 주택관리에 있어서 조금 힘들기도 합니다.
또 만약 농가주택을 매매하길 원하신다면 되팔기도 힘들기 때문에 잘 생각을 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시골 지역 하면 인심이 좋다는 생각을 하시기도 하지만 일명 지역 텃세라고도 합니다. 다행히 저희 부모님은 겪지 않는 일이긴 하지만 상당히 많은 분들이 지역 텃세를 겪었다고도 합니다.
마무리
자 오늘은 이렇게 농가주택 매매 주의사항에 대해서 한번 알아봤습니다.
여러분들은 은퇴 후 계획이 있으신가요? 귀농도 충분히 멋진 꿈인 것 같습니다.
'정보 >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모주란? (1) | 2020.09.01 |
---|---|
카카오게임즈 공모주 청약방법 정리 (0) | 2020.09.01 |
수색증산뉴타운 분양 (0) | 2020.08.25 |
공매도란? (0) | 2020.08.24 |
임야매매시 주의사항 (0) | 2020.08.23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