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갑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전월세 전환율 계산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지난 8월부터 본격 시행된 임대차3법 때문에 부동산쪽이 조금 얼어붙은 기류가 보이고 있는데요.

 

사실 임대인과 임차인을 조율해야하는 법안인데, 사실 논란이 많은 것 같습니다.

저도 이번에 전세매물을 알아보고 있는데 찾기가 괜찮은 전세매물이 없더라구요.

그리하여 오늘은 전월세 전환율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전월세 전환율이란?

전월세 전환율이 도대채 무엇인가? 싶으신 분들도 계실 것 같습니다.

전월세 전환율은 보통 전세를 월세로 바꿀때 혹은 월세를 전세로 바꿀 떄 사용하는 비율을 뜻하는데요. 보통 전세->월세로 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세보증금을 월세로 바꿀때 적용되는 비율이 전월세 전환율인데요.

 

현재 10월부터는 현행 4%인 전월세 전환율 상한이 2.5%로 낮아질 것으로 개정안이 입법이 되었습니다.

 

사실 요즘 같은 저금리 시대에 있어서 3.5% 이율은 조금 높은편이기도 했기에 현재 기준금리 0.5%에 맞춰서 낮출 것 같습니다.

 

이렇게 전월세 전환은 보통 임차인이 전세보다는 월세로 거주하는 경우 주거비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서 하향을 진행하는 것 같습니다.

 

전월세 전환율 계산 방법

전월세 전환율 계산은 어렵지 않습니다. 10 2.5%로 바뀌는 것을 감안해서 계산식을 알려드릴게요.

(보증금*2.5%)/12개월(1) 으로 하시면 금액이 나오는데요. 이것이 일반적인 계산식입니다.

 

하지만 부동산 시장에서 통용되는 것은 조금 다르긴 합니다. 보통 부동산을 통해 거래를 진행할경우 보증금 1천만원 당 4만원정도를 계산하게 됩니다.

 

거의 대부분 100만원 초반대 선에서 전월세 전환 이율이 나오게 되는데요.

현행은 4%이니까 조금 더 금액이 발생되니 10월 이후에 거래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전월세 전환율 앞으로의 전세와 월세 미래

 

임대차 3법으로 인해 괜찮은 전세매물 찾기가 솔직히 힘듭니다. 아마 이제 전세매물보다는 임차인들은 월세를 선호하게 될 것 같습니다.

 

현재도 월세시장의 가속화는 계속해서 진행이 되고 있는데요.

 

사실 전세는 우리나라에서만 있는 문화라고도 볼 수 있는데, 앞으로는 전세 찾기가 힘들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월세시장이 가속화 될 수록, 일반 서민들의 종잣돈 모으기는 더더욱 힘들어질 것 같습니다.

 

사실 이렇게 부동산 시장이 혼란한 가운데, 아직도 수도권 , 서울 내부의 청약은 그래도 영끌해서 사야하는 로또 부동산이긴 한 것 같습니다.

 

마무리

부동산, 주식은 우리가 직접적으로 하지않더라도 꼭 기본적인 지식은 챙겨야 하는 부분인 것 같습니다. 알면 보이는 것이 달라지기 때문이고, 코로나 때문이 아닌 앞으로의 경제의 호황은 쉽게 예상할 수가 없을 것 같습니다.

 

우리가 우리의 돈을 지키고 불려나가기 위해서는 돈을 잠재우는 것이 아닌 똑똑하게 굴려나가는 방법을 공부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정보 > 일반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루셀라병 이란?  (0) 2020.09.16
3기 신도시 분양시기  (0) 2020.09.16
내일배움카드로 배울 수 있는 것  (0) 2020.09.14
유튜브 프리미엄 가격 후기!  (0) 2020.09.11
돌반지 1돈 가격 실제 구매  (0) 2020.09.10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